#헤드라인
"혈당 높으니 산책하세요" 시니어 돌보는 AI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59503
"혈당 높으니 산책하세요" 시니어 돌보는 AI
에이지테크 도입한 양로시설 가보니 AI 혈당관리 솔루션 '파스타' 측정기 부착 앱으로 모니터링 식단 분석하고 운동 추천해줘 카카오톡서 가족·지인 공유도 건강관리 돕는 에이지테크 시니어
n.news.naver.com
에이지테크 도입한 양로시설 가보니
AI 혈당관리 솔루션 '파스타'
측정기 부착 앱으로 모니터링
식단 분석하고 운동 추천해줘
카카오톡서 가족·지인 공유도
건강관리 돕는 에이지테크
시니어 돌봄 시설서 활용늘어
#본문
24시간 신체 혈당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카카오헬스케어의 연속혈당측정기(CGM)를 부착하면 실시간 혈당 관리를 체크해주는 파스타 애플리케이션의 모습. 차창희 기자
최근 매일경제가 방문한 경기 화성에 있는 유료 양로시설 케어링스테이 레이크점. 이곳에 입주한 85세 김철수 씨는 스마트폰으로 자신의 혈당 수치 변화를 보는 것을 즐긴다. 아침밥을 먹은 뒤 소파에 앉아 TV를 시청하자 김씨의 혈당이 170 이상으로 급등했다. 이어 "간단한 산책을 추천해요"라는 메시지가 그의 스마트폰에 자동으로 떴다. 김씨는 "식사 메뉴를 사진으로 찍으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인식해 칼로리와 혈당 수치를 계산해준다"며 "간호 선생님이 입주자 신체를 모니터해 건강에 이상이 생기면 병원 진료로 연계해준다"고 웃어 보였다.
인공지능(AI)을 통한 에이지테크(Age-Tech) 혁신이 이뤄지고 있다.카카오헬스케어가 개발한 혈당 관리 솔루션 '파스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24시간 혈당 체크로 시니어의 건강 관리를 돕는 양로시설이 늘어나는 모습이다.
케어링스테이 레이크점은 카카오헬스케어의 파스타 앱을 가장 먼저 도입해 입주민 시니어 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경증 질환을 앓는 시니어를 위한 시설인 케어링스테이엔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간호사 등 돌봄 전문가가 상주하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곳에선 카카오헬스케어와 미국 헬스케어 기업 덱스콤이 협력해 개발한 연속혈당측정기(CGM)를 활용한다. 신체 내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CGM을 착용하면 스마트폰에 설치한 파스타 앱을 통해 몸의 혈당 변화를 24시간 확인할 수 있다. 실제 김씨의 왼쪽 팔엔 500원 동전 크기의 CGM이 부착돼 있었다. CGM은 한 번 부착하면 2주 동안 사용할 수 있다. 취재진이 부착해본 결과 운동, 목욕 등 일상생활을 하는 데 전혀 불편함이 없었다. 부착 과정에서 별도의 통증도 없었다.
파스타 앱에는 김씨의 적정 혈당 수치가 제시돼 있고, 활동 내용에 따라 혈당 수치가 움직인다. 가만히 앉아 있거나 식후엔 혈당 수치가 오르고, 운동을 하면 혈당 수치가 내려가는 걸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파스타는 어떤 음식이 혈당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지 분석해 식단을 추천하기도 한다.
특히 이 같은 AI 혈당 관리 솔루션을 통해 실버타운에 상주하는 의료진은 실시간으로 입주 시니어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건강 악화 때 지역 병원과 즉각 연계해 진료도 가능하다. 아울러 의료진 외에 가족, 지인과도 혈당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원혜미 케어링스테이 레이크점 운영팀장은 "디지털과 친해진다는 측면에서 즐거워하는 시니어가 많다"며 "자식들이 본인의 혈당 상태를 체크해 관리해주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구글과 협업해 AI 챗봇 기능을 도입했다. 한 시니어가 "당뇨병 환자가 긴급 저혈당일 때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달라"고 질문하자 AI 챗봇은 "포도당 젤, 사탕, 과일주스 등 포도당이 함유된 음식료를 즉시 섭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같은 조언은 시니어 식습관을 바꾸고 있다. 최근 1년간 파스타 앱 고객 11만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시니어가 즐겨 먹은 음식은 샐러드, 삶은 달걀, 아메리카노, 사과, 토마토 순으로 집계됐다. 혈당 조절, 체중 감소를 목표로 하는 시니어 사이에서 식이섬유소-단백질-탄수화물 순으로 식사하는 '거꾸로 식사법'이 자리 잡고 있다.
이용자가 파스타 앱을 이용한 뒤 줄인 혈당을 모두 합치면 5만5000㎎/dL으로 각설탕 546만개에 달했다.파스타 앱으로 아낀 채혈 침은 2억개 이상으로 파악됐다. 이들이 혈당 관리를 위해 자주 한 운동은 식후 걷기, 자전거 타기, 러닝, 근력 운동 순이었다.
초고령사회를 맞아 에이지테크를 활용한 시니어 건강 관리 혁신은 향후 요양·양로시설 입소자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정부는 국내 에이지테크 산업 육성을 규제 혁신, 예산 확대로 전폭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화성 차창희 기자]
차창희 기자(charming91@mk.co.kr)
#추가 조사할 내용
[에이지테크(Age-Tech)]
고령자를 위한 첨단 기술을 적용한 제품 및 서비스로 고령화 사회의 주요 해결책으로 주목받는 중
- 고령자 자립생활 지원: 주거, 스마트홈, 디지털 헬스케어, 운동 및 재활, 이동, 정서 지원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고령자의 자립을 돕는 기술, 제품, 서비스를 제공. 고령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독립성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
- 고령자 돌봄 기술: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이고, 미래의 돌봄 인력 부족에 대비하기 위한 돌봄 로봇 등의 기술을 포함. 돌봄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령자들이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도움
- 기술 수용 서비스: 고령자가 기술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과 연계된 모든 서비스 모델을 포함함. 고령자들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
국내 AI 활용한 에이지테크 기업 사례
- 세븐포인트원: AI 기반 치매 발견 솔루션 '알츠윈(AlzWIN)' 개발. 전문 장비나 전문가 없이 앱을 통해 치매 위험을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음
- 피에트: AI 기반 개인 맞춤 건강 종합 관리 솔루션 '룹코어' 제공. 수면 상태를 측정하는 슬립 패드를 통해 수집된 수면 데이터를 AI로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 브레인데크: AI를 기반으로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는 고령층과 언어 장애인의 새로운 목소리를 생성하여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블링(Bling)' 개발
#적용할 점
카카오헬스케어 파스타 어플리케이션
[제품 특징]
- 실시간 혈당 모니터링: CGM(연속혈당측정기)을 통해 사용자의 혈당 변화를 24시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혈당이 상승할 때 자동으로 알림이나 산책 권유 메시지를 전달
- 개인 맞춤 건강 관리: 식사 메뉴를 사진으로 찍으면 앱이 음식의 칼로리와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를 바탕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운동이나 식단 추천을 제공해 건강 관리
- AI 기반 응급 대응: AI 챗봇 기능을 통해 당뇨병 환자에게 긴급 저혈당 시 대처 방법(예: 포도당 섭취) 안내
[기술 특징]
- IoT 및 센서 기술: 500원 동전 크기의 CGM이 간편하게 부착되어 2주 동안 지속적으로 혈당 데이터를 측정. 일상생활(운동, 목욕 등) 중에 불편 없이 사용 가능
- AI와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이 실시간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는 식단 및 운동 추천. 구글과의 협업을 통해 AI 챗봇 기능을 강화하여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 가능
- 통합 건강 관리 시스템: 의료진과 가족 모두 실시간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어, 입주자의 건강 상태를 빠르게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음
[사업 특징]
- 시니어 맞춤형 에이지테크: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특화된 서비스로, 양로시설 등 시니어 케어 환경에서 건강 관리의 효율성을 높임
- 의료 연계 서비스: 건강 악화 시 지역 병원과의 즉각 연계로 빠른 진료를 지원, 의료비 절감과 안전한 건강 관리에 기여
- 데이터 기반 비용 절감: 앱 사용을 통해 줄어든 채혈 침 사용 등, 실제 의료 비용과 자원 사용을 크게 줄이는 효과
[질문할 만한 내용]
- 파스타 앱의 주 사용자가 시니어인 만큼, UI/UX 디자인에서 글자 크기, 컬러 대비, 버튼 크기 등 접근성 요소를 어떻게 최적화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시니어들이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어떤 디자인 원칙을 적용하시는지 알고 싶습니다.
- CGM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혈당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어떤 기술을 사용하고 계신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데이터 업데이트와 애니메이션 처리 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어떠한 전략을 채택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실시간 건강 모니터링 같은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면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간의 협업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특히 데이터 보안과 빠른 응답 속도를 보장하기 위해 어떤 커뮤니케이션 도구나 프로세스를 사용하시는지 알고 싶습니다.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AI·딥시크 필적"… LG, 추론AI 자신감 (0) | 2025.03.26 |
---|---|
이번엔 바이두…딥시크 반값 '어니 X1' AI 모델 내놨다 (0) | 2025.03.19 |
농구 본 적 없는 구글 로봇, '덩크슛' 성공 (2) | 2025.03.16 |
AI의 잘못된 정보, AI로 바로잡는다 (0) | 2025.03.16 |
AI 스타트업 1분기 투자 43조…2023년 한해 넘어서 [긱스]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