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스타트업 1분기 투자 43조…2023년 한해 넘어서 [긱스]

2025. 3. 16. 22:24·경제신문스크랩

#헤드라인

AI 스타트업 1분기 투자 43조…2023년 한해 넘어서 [긱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04856

 

AI 스타트업 1분기 투자 43조…2023년 한해 넘어서 [긱스]

글로벌 인공지능(AI) 스타트업에 다시 투자금이 쏠리고 있다. 11일 글로벌 VC 리서치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VC의 AI 스타트업 투자금은 총 300억달러(약 43조원)로 추산된다. 지난해

n.news.naver.com

한국 시장은 차갑게 식어

"韓 VC들 안정만 추구"

글로벌 인공지능(AI) 스타트업에 다시 투자금이 쏠리고 있다.

 


#본문

11일 글로벌 VC 리서치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VC의 AI 스타트업 투자금은 총 300억달러(약 43조원)로 추산된다. 지난해 총투자금 약 400억달러의 75%를 3개월 만에 끌어모았다.챗GPT가 공개된 뒤 투자 열풍이 분 2023년 투자금(200억달러)을 넘어섰다.

 

AI 투자가 늘어나며 글로벌 스타트업 투자도 확대됐다. 작년 4분기 글로벌 VC는 약 800억달러를 스타트업에 쏟아부었다.2021년 4분기 이후 3년 만의 최대치다. 지난 2년간 고금리로 위축됐던 투자심리가 회복한 것이다.

 

챗GPT가 등장한 뒤 AI를 도입하는 기업이 늘어나며 개발 업체의 성장세가 가팔라졌다. AI 개발 기업에 베팅한 VC의 투자 리스크가 줄어든 것이다. 오픈AI의 경쟁사인 앤스로픽은 지난해 매출 10억달러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10배 증가했다. 방위산업 AI 개발 업체 안두릴도 작년 매출 10억달러를 넘기며 전년 대비 118% 증가했다.

 

옥석 가리기가 시작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유동성이 넘쳐 투자금을 쏟아붓던 2021년과 달리 지난해부터 시장을 선점한 스타트업이 투자금을 독식하고 있어서다. 작년 4분기 투자금의 40%가 xAI, 데이터브릭스 등 6개 기업에 쏠렸다.

 

반면 국내 스타트업 투자 시장은 냉기가 도는 모습이다. AI 스타트업 투자가 줄었기 때문이다. VC 리서치업체 더브이씨에 따르면 올해 1~2월 국내 VC가 AI 스타트업에 투자한 금액은 총 881억원에 그쳤다.1년 전보다 63.7% 감소했다. 투자 비중도 하락세다. 지난해 스타트업 투자액(1조126억원)에서 AI 스타트업 투자액은 2431억원으로 21.5%를 차지했다. 올해 1~2월에는 10%로 급감했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투자금이 국내 시장으로 유입되지 않아 투자심리가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기준 글로벌 VC의 국내 벤처투자액은 4746억원으로 2021년 1조1724억원과 비교해 59.5% 급감했다.

 

업계 관계자는 “개발비를 웃도는 매출을 기록하기 전 찾아오는 ‘데스밸리’를 신생 기업이 넘어서기 위해선 초기 투자가 절실하다”며 “AI 개발을 위해선 현금이 계속 유입돼야 하는데 국내 VC가 모험 대신 안정을 택해 개발 속도가 더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추가 조사할 내용

VC(Venture Capital)

고도의 기술력과 장래성은 있지만 경영기반이 약해 일반 금융기관으로부터 융자받기 어려운 벤처기업에 무담보 주식투자 형태로 투자하는 전문적인 금융기관이나 그러한 금융기관의 자본 

  • 잠재력이 높은 기업을 발굴해서 투자를 하는 하는 기업 내지 그 자체의 자본, 모험 자본
  • 벤처캐피탈의 투자대상은 창업한 지 3년 이내의 초기기업이며, 때로는 7년 이내의 기업에 투자
  • 기존 금융기관과는 달리 투자기업과 함께 높은 위험을 부담하는 대신 투자기업의 경영성과를 같이 나누는 수익구조
  • 자금지원 뿐만 아니라 투자기업에 대한 경영자문부터 각종 경영지원을 등을 통해 회사를 성장시키는데 주력
  • 초기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을 성장시켜서 기업가치를 올린 다음 엑시트하는 것이 주된 목적

 

 

데스 밸리

벤처 기업이 연구·개발(R&D)에 성공한 후에도 자금 유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맞는 도산 위기를 일컫는다. 통상 창업 후 3~5년 정도 기간을 의미

 


#적용할 점

[기업의 제품·기술·사업 특징 요약]
1. AI 스타트업 투자 확대와 시장 성장
- 챗GPT 등장 이후 AI 기술 도입 기업이 급증하며, 글로벌 VC 투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음.
- AI 기술 기반 기업(앤스로픽, 안두릴 등)의 매출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며 AI 기술의 상용화와 성장 가능성을 입증.
- 시장을 선점한 소수의 우수 스타트업(xAI, 데이터브릭스 등)이 투자금을 집중적으로 확보하며, 시장 내 '옥석 가리기' 현상이 뚜렷해짐.

[국내 AI 스타트업 투자 현황과 특징 요약]
2. 국내 AI 스타트업 투자 위축
- 2024년 1~2월 국내 VC의 AI 스타트업 투자금은 881억 원으로 전년 대비 63.7% 급감함.
- AI 분야 투자 비중도 전년도(21.5%) 대비 올해(10%) 크게 줄어든 상황임.
- 글로벌 투자금 유입이 감소하여 국내 투자심리가 위축되었고, VC들이 리스크가 높은 AI 초기 기업보다 안정성을 추구함.
- 초기 투자 부족으로 인해 국내 AI 스타트업들이 제품 개발 및 상용화 과정에서 자금난(데스밸리)을 겪으며 성장이 정체됨.

[현직자에게 물어보고 싶은 질문]
- 현재 국내 AI 스타트업의 실제 개발 속도나 제품 출시 주기가 글로벌 기업에 비해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체감하고 있나요?

- 투자 환경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국내 AI 스타트업들은 주로 어떤 전략(예: 해외진출, B2B 전략 등)으로 생존과 성장을 도모하고 있나요?

- AI 기술력을 갖춘 신입 개발자가 스타트업에 입사했을 때 빠르게 성장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익혀야 할 업무 역량이나 기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구 본 적 없는 구글 로봇, '덩크슛' 성공  (2) 2025.03.16
AI의 잘못된 정보, AI로 바로잡는다  (0) 2025.03.16
정확도 높이는 AI 스타트업…충성고객 잡고 실적 상승세  (1) 2025.03.11
영상서 로봇까지…中 오픈소스 AI의 공습  (1) 2025.03.11
'기업용 AI 비서' 세일즈포스·MS 정면충돌  (0) 2025.03.07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농구 본 적 없는 구글 로봇, '덩크슛' 성공
  • AI의 잘못된 정보, AI로 바로잡는다
  • 정확도 높이는 AI 스타트업…충성고객 잡고 실적 상승세
  • 영상서 로봇까지…中 오픈소스 AI의 공습
개발새발개발자_
개발새발개발자_
바닥부터 시작하는 개발자의 하루
  • 개발새발개발자_
    개발바닥
    개발새발개발자_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52)
      • 경제신문스크랩 (36)
      • 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_자바스크립트 (1)
      • 코딩 테스트 공부 (15)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개발새발개발자_
AI 스타트업 1분기 투자 43조…2023년 한해 넘어서 [긱스]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