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자체 LLM 확 키운다…"전 사업에 에이닷엑스 활용"

2025. 3. 26. 00:23·경제신문스크랩

#헤드라인

SKT, 자체 LLM 확 키운다…"전 사업에 에이닷엑스 활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08644

 

SKT, 자체 LLM 확 키운다…"전 사업에 에이닷엑스 활용"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대규모언어모델(LLM) ‘에이닷엑스’를 기반으로 대화형 인공지능(AI)을 개발할 인력을 대거 뽑는다. 규모를 정해놓지 않고 AI 개발자를 채용해 LLM 사업에 힘을 주겠다는

n.news.naver.com

AI 개발자 뽑고 활용처 늘리고

연내 '더 강한 성능' LLM 공개


#본문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대규모언어모델(LLM) ‘에이닷엑스’를 기반으로 대화형 인공지능(AI)을 개발할 인력을 대거 뽑는다. 규모를 정해놓지 않고 AI 개발자를 채용해 LLM 사업에 힘을 주겠다는 계획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최근 에이닷엑스 고도화 프로젝트를 맡을 AI 개발자 채용에 나섰다. 딥러닝 기반 언어 처리, 언어·대화모델 관련 연구 및 개발 경험이 있는 전문가가 대상이다. 이에 따라 전체 인력에서 AI 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획기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4월 기준 AI 인력 비중은 40%에 달했다.

 

이번 채용은 SK텔레콤이 에이닷엑스를 키우려는 중장기 전략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에이닷엑스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AI 개발을 핵심 프로젝트로 밀겠다는 방침이다. 퍼플렉시티, 앤스로픽, 오픈AI 등과 협력하는 과정에서 한동안 외부 LLM 의존도가 높아졌던 기조에 변화를 주는 것이다.

 

SK텔레콤은 올해 들어 에이닷엑스를 ‘전천후 엔진’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추진 중인 여러 AI 사업에 에이닷엑스를 적용해 외부 LLM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 에이닷 전화 통화 요약 기능의 기반을 에이닷엑스로 전면 전환한 게 대표적이다. 기존에는 오픈AI의 ‘챗GPT’를 활용했다. 회사 관계자는 “여러 차례 실험해보니 통화상 상용어구를 정리하는 데 챗GPT보다 에이닷엑스 성능이 우수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에이닷 앱에서도 에이닷엑스를 활용 중이다. 이용자는 에이닷이 제공하는 멀티 LLM 에이전트(비서)에서 에이닷엑스, 챗GPT, 퍼플렉시티, 클로드를 골라 쓸 수 있다.

 

SK텔레콤은 연내 출시할 기업 간 거래(B2B) 솔루션 ‘에이닷 비즈’에도 에이닷엑스를 집어넣을 것으로 전해졌다. 일상은 물론이고 법무·세무·홍보(PR) 등 전문 업무 영역에도 에이닷엑스를 적극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이렇게 자체 LLM을 활용하는 사례가 늘수록 비용 절감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서버 사용 등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다. 전사적으로 모든 사업 영역에 에이닷엑스를 활용하는 게 최종 목표다. 올해 상반기 성능을 고도화한 ‘에이닷엑스 4.0’을 공개할 계획이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추가 조사할 내용

1. 에이닷엑스

- 한국어 문장 이해와 생성에 특화되어 있음.

- 통화 요약 기능이 주 특징

 

2. 활용처

- SKT 내부에서 AI 통화 요약, AI 고객센터, AI 서류 자동 처리 등으로 활용 중

- 에너지, 로봇 등의 사업 분야에도 도입

 

3. 차후 계획

-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영상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멀티모달 AI 모델로 발전시킬 예정

- 자율주행, 로봇 등에 적용될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도 진행 중

- 상반기에 공개될 '에이닷엑스 4.0'은 한국어 지식 성능이 강화될 예정

 


#적용할 점

[SK 텔레콤]
- 외부 모델(예: 챗GPT)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개발한 LLM인 에이닷엑스를 기반으로 AI 기술 발전
- 대화형 AI 기술의 다양한 적용: 에이닷엑스를 중심으로 멀티 LLM 에이전트(비서) 제공
- 비용 효율성과 사업 확장 전략: 자체 LLM을 도입함으로써 서버 사용 비용 등 외부 의존도를 줄이고 비용 절감 및 사업 전반에 혁신적인 기술 적용을 목표

-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 및 인력 강화: 에이닷엑스의 성능을 꾸준히 향상시키고 있으며, AI 개발자 채용 확대를 통해 AI 인력 비중을 높여 전사적으로 AI 기술 발전에 집중

[현직자 질문]
- SKT가 외부 LLM 의존도를 줄이고 자체 기술을 강화하기 위해 앞으로 어떤 연구 및 개발 방향을 계획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에이닷엑스가 오픈AI, 퍼플렉시티 등 타사의 LLM과 비교했을 때 어떤 기술적 차별점을 가지고 있나요?
- 에이닷엑스를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면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기술적 요소나 서비스 영역은 무엇인가요?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귀 임박한 이해진 "네이버, 의료AI에 진심"  (1) 2025.03.26
[#Let's 스타트업] AI가 만드는 AI 학습데이터 … 방산업계 러브콜  (0) 2025.03.26
젠슨 황의 새 법칙 …"로봇·PC로 AI 확장, GPU 100배 더 필요"  (0) 2025.03.26
"오픈AI·딥시크 필적"… LG, 추론AI 자신감  (1) 2025.03.26
이번엔 바이두…딥시크 반값 '어니 X1' AI 모델 내놨다  (0) 2025.03.19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복귀 임박한 이해진 "네이버, 의료AI에 진심"
  • [#Let's 스타트업] AI가 만드는 AI 학습데이터 … 방산업계 러브콜
  • 젠슨 황의 새 법칙 …"로봇·PC로 AI 확장, GPU 100배 더 필요"
  • "오픈AI·딥시크 필적"… LG, 추론AI 자신감
개발새발개발자_
개발새발개발자_
바닥부터 시작하는 개발자의 하루
  • 개발새발개발자_
    개발바닥
    개발새발개발자_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52)
      • 경제신문스크랩 (36)
      • 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_자바스크립트 (1)
      • 코딩 테스트 공부 (15)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개발새발개발자_
SKT, 자체 LLM 확 키운다…"전 사업에 에이닷엑스 활용"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