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아마존 AI, 식당 예약·우버 호출까지 척척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51238
아마존 AI, 식당 예약·우버 호출까지 척척
기존 알렉사에 생성형AI 적용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이면서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만드는 '아마존'이 새로운 가정용 인공지능(AI) 비서(Assistant) '알렉사 플러스(알렉사+)'를 공개했다. 26일(현
n.news.naver.com
기존 알렉사에 생성형AI 적용
#본문
26일(현지시간) 아마존은 미국 뉴욕에서 '알렉사 플러스' 공개 행사를 열었다. 기존 스마트홈 기기에 탑재된 알렉사 AI에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를 적용해 업그레이드한 것이 알렉사 플러스다.
아마존에 따르면 알렉사 플러스는 기존 알렉사가 탑재된 스피커, 스마트홈 디스플레이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알렉사 플러스는 대화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알렉사보다 자연스럽고 유창한 대화가 가능해졌다. 또 사용자의 말을 통해 학습하기 때문에 사용 빈도가 높아질수록 더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알렉사 플러스는 단순히 대화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일을 처리해준다. 일정을 달력에 추가하거나, 선물 쇼핑이나 여행 준비 등을 돕는다. 알렉사 플러스는 다양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알렉사 플러스는 홈 카메라와도 연결된다. 아마존의 홈 카메라 솔루션인 '링'을 구독하면 알렉사 플러스에 요청해 '링'이 녹화한 영상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알렉사 플러스와 이메일이나 문서를 공유할 수도 있다. 내 이메일을 알렉사 플러스가 읽으면 나에게 필요한 행동이 무엇인지를 알렉사 플러스가 얘기해준다. 또는 해석이 어려운 방대한 문서를 알렉사 플러스가 요약해줄 수도 있다.
이외에도 아마존은 오픈테이블이나 우버 같은 제3업체와 연결해서 알렉사 플러스가 식당을 예약하거나 우버를 호출하는 업무도 한다고 밝혔다.
아마존에 따르면 알렉사 플러스에는 아마존이 자체 개발한 대규모언어모델(LLM)인 노바와 아마존이 투자한 AI기업 앤스로픽의 '클로드'가 모두 사용된다.
알렉사 플러스의 월 구독료는 19.99달러지만, 아마존 프라임 고객에게는 무료로 제공된다. 아마존 프라임은 한국 쿠팡 와우멤버십처럼 신속 무료 배송 서비스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프라임 비디오' 등이 포함된 구독 서비스다. 미국 성인의 64%가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렉사 플러스는 향후 몇 주 안에 스마트홈 디스플레이인 '에코 쇼 8·10·15·21'을 사용하는 미국 고객에게 먼저 서비스가 시작된다.
앤디 재시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행사에서 "우리는 알고 있는 거의 모든 고객 경험이 생성형 AI를 통해 재창조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확신을 표시했다.
[실리콘밸리 이덕주 특파원]
이덕주 특파원(mrdjlee@mk.co.kr)
#본문의 근거
1. 아마존이 기존 스마트홈 기기에 탑재된 알렉사에 생성형 AI를 적용한 알렉사 플러스를 공개했다.
2. 알렉사 플러스는 기존 알렉사가 탑재되어 있던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알렉사보다 더 개인화되고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3. 아마존의 홈 카메라 같은 기기나 오픈테이블, 우버 같은 제 3업체와도 연결되어 있다.
4. 미국 성인의 64%가 사용하는 아마존 프라임 고객에게는 무료로 제공하며 스마트홈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미국 고객에게 먼저 서비스가 시작된다.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1. 다른 인공지능 비서 제품의 상황
2. 국내 인공지능을 탑재한 스마트홈 기기 현황
#적용할 점
- 알렉사 플러스 같은 경쟁 제품군과 차별점을 만들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 국내는 인공지능 비서들의 고객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한데 상황을 어떻게 보는지
요약: 아마존이 인공지능 비서 알렉사에 노바와 클로드를 이용하여 생성형 AI를 탑재한 알렉사 플러스를 출시했다. 아마존 프라임 고객에게는 무료로 제공되며, 기존 알렉사가 탑재되어 있던 기기에서 사용 가능하다.
의견: 아마존 프라임이라는 잠재적 고객을 대규모로 확보한 상황이기 때문에 알렉사 플러스의 사용 비율이 상당할 것 같다. 기존 생성형 AI의 경우 홈페이지나 어플에 접속해야 사용이 가능한데, 알렉사 플러스는 기존에 존재하는 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한 단계 낮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스마트홈 기기를 생산하는 회사라면 생성형 AI의 접목을 적극적으로 시도해 볼 만 한 것 같다. 실제로 네이버클로바의 경우인공지능 스피커 클로바 웨이브와 같은 제품을 이미 판매 중이니 비슷한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난해 불황 뚫고 호실적 낸 넥슨, 크래프톤, 넷마블 올해 신작 레이스 본격 개시 (1) | 2025.03.05 |
---|---|
"AI와 광고의 결합"…넷플릭스 '애드테크'로 유튜브 추격 (1) | 2025.03.03 |
LG전자 "美 가전 B2B서 올해도 60% 성장" (0) | 2025.02.28 |
CJ 손잡은 '트래블월렛'…올영·뚜레쥬르 등 결제 (0) | 2025.02.27 |
같은 해 발표한 아마존 데이터센터…말레이는 이미 가동, 韓은 이제야 착공 (0) | 2025.02.25 |